11월 18일 월요일,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조선일보입니다. <br /> <br />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커졌다는 내용입니다. "결혼하길 잘했다, 우리는 잉꼬부부"라면서결혼 만족 기혼자가 75%를 넘었다고 합니다. 2014년만 해도 이 비율이 65%였는데 10년 만에 10%p 늘었습니다.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늘면서 최근 혼인 건수도 늘어났다는 분석입니다. 결혼 만족도가 높아진 가장 큰 요인은 육아·가사 분담입니다. 특히 20대 아내 55%는 "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"고답했습니다. "아내가 곰국을 끓여놓고 여행 가면 괴롭다"는 말도 이젠 옛말이 되고 있나 봅니다. "남편과 집안일을 함께 한다"고 응답한 60대 아내의 비율도 20%에 달합니다. 가사 분담으로 배우자의 심리적 만족도가높아지면 배우자 간의 소통도 긍정적으로 바뀌겠죠. 결혼 선배들의 만족도가 높아지자 "결혼하는 게 좋겠다"는 응답도 53%로 나타났습니다. 신문은 "이런 분위기를 살려 결혼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를 늘려야 한다"는 전문가 의견도 함께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한겨레신문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일하는 노인은 늘었는데 대부분이 '생계형 노동'에 내몰리는 현실을 짚은 기사입니다. 신문은 "'각자도생'하는 한국 노인의 삶이 더 팍팍해졌다"는 제목을 붙였습니다. 일하는 노인의 비율은 꾸준히 늘어서 지난해 기준 39%입니다. 이들의 78%는 일을 하는 이유가 '생계비 마련'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. 말 그대로 당장 먹고 살 돈을 벌기 위해서 일하러 나서는 것입니다. 노인가구의 전체 소득 중 근로 사업소득이차지하는 비중은 54%에 달합니다. 12년 동안 16%p가 늘었습니다. 반면 공적이전소득, 쉽게 말해서 연금이나 각종 수당처럼 정부로부터 받는 돈인데이건 같은 기간 동안 제자리걸음이었습니다. 여기에 자녀의 지원은 점점 끊기고, 사회복지 수준도 별반 나아지지 않으면서 어르신들이 '각자도생' 처지에 내몰리는 겁니다.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40.4%, 세계 최고 수준이고 OECD 평균의 3배 가까이 높습니다. 개개인에게 노년을 책임지라고 하기엔 좀 팍팍한 현실인데요. 전문가들은 정부가 더 다각적으로 대응에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. 그 대책으로 '소득안전망 내실화, 국민 기초생활보장 급여 수준의 상향' 등을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내용 보겠습니다. <br />최소 5년 차 이상을 원하던 경력직 채용 트렌드가 달라졌습니다. 이젠 5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채운 (jcw17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1807052180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